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상호관세에 관한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무역전쟁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단순한 압박이 아닌, 협상 여지를 열어두기 위한 전략일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4월 1일까지 대미 무역적자 해소 방안을 마련할 것을 각국에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여러 국가들은 협상에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백악관의 고위 관리는 이번 상호관세 조치가 다른 나라들이 미국 제품에 부과하는 수준에 맞춰 자국의 수입관세를 조정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만약 다른 국가들이 관세를 낮추길 원한다면 미국은 기꺼이 협상에 응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인도는 트럼프와의 정상회담을 통해 F-35 전투기 구입과 원자력발전소 도입 등을 포함한 대미 무역적자 해소 협상을 시작했습니다. 블룸버그는 트럼프가 먼저 충격을 주고, 이후 협상에 나서는 방식이 기존에도 있었으며, 이를 통해 더 나은 거래 조건을 이끌어내려 한다고 분석했습니다. 또한 트럼프는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한 달 연기하며, 협상의 여지를 열어둔 것으로 해석됩니다.
금융 시장도 이에 반응하고 있습니다. 이날 달러 인덱스는 2개월 만에 최저점을 기록하며, 강달러 베팅이 줄어들었습니다. 블룸버그는 "트럼프의 관세 부과가 단순한 목표가 아니라 더 나은 거래를 위한 전술"이라며, 관세 리스크가 줄어들면서 달러에 피로감이 쌓였다고 설명했습니다.
트럼프의 상호관세 정책이 전 세계에 보내는 신호는 분명히 강력한 경고이지만, 일부 국가들은 협상으로 면제나 연기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많은 국가들은 실질적인 관세 부과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https://since20230806.blogspot.com/2025/02/countries-seek-solutions-to-trade.html
Countries Seek Solutions to Trade Imbalances as US Considers Reciprocal Tariffs
Global Leaders Engage in Negotiations Amid Growing Trade Tensions President Donald Trump signed an executive order addressing the issue of r...
since20230806.blogspot.com